과목4. 데이터베이스 구축, 19강. 데이터 전환 수행
[ 목차 ]
1. 데이터 전환 절차
2. 데이터 전환 계획 및 요건정의 단계
3. 데이터 전환 설계 단계
4. 데이터 전환 개발 단계
5. 데이터 전환 테스트 및 검증 단계
6. 데이터 전환 단계
7. 데이터 전환 계획서
8. 데이터 전환 계획서 작성
9. 데이터 전환 계획서 항목
10. 체크리스트
11. 데이터 검증
1. 데이터 전환 절차
1) 데이터 전환 수행 계획서를 만들기 위해서 전체적인 데이터 전환 방법론을 이해해야 함
2) 요구사항 분석 단계(전환 계획, 요건 정의) -> 설계 단계(전환 설계) -> 구현 단계(전환 개발) -> 테스트 단계(전환 테스트 및 검증) -> 데이터 전환
3) 데이터 전환 계획서 작성 -> 체크리스트 작성 -> 데이터 변환 프로그램 개발 -> 수행 결과 검증 -> 결과 보고서 작성
4) 위 표에서 주요 목표도 기억
2. 데이터 전환 계획 및 요건정의 단계 (2~6은 세부 내용으로 참고만)
1) 데이터 전환 프로젝트의 계획을 수립하고 현행 정보시스템 및 원천 데이터의 구조를 분석
2) 업무 영역들에 대한 분석
3) 분석이 끝나면 목표 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진행
4) 프로젝트 계획 - 프로젝트 환경 구축 - 현행 시스템 분석 - 목표 시스템 분석 - 데이터 전환 요건정의
5) 프로젝트 계획
- 프로젝트의 목표와 범위를 명확히 하고 추진 체계와 절차 및 투입 인력을 명시
- 데이터 품질관리 계획과 보안관리에 대한 내용도 파악하여 기록
6) 프로젝트 환경 구축
- 데이터 전환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와 네트워크 환경 등 개발 환경을 구축
7) 현행 시스템 분석 As-is
- 현행 정보시스템의 환경을 분석
- 장비 및 솔루션 현황 그리고 네트워크 구성도 파악해야 하며, 원천 데이터 형식이 어떻게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지 경로 및 크기도 함께 분석
8) 목표 시스템 분석 To-Be
- 데이터가 최종 적재되는 목표 시스템에 대한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확히 분석하고 이해
9) 데이터 전환 요건정의
- 데이터 전환 시 고객과 이해 관계자의 요건을 명확히 정의
3. 데이터 전환 설계 단계
1) 데이터 전환 계획 및 요건정의 단계에서 정의된 내용을 근거로 데이터 전환을 위한 데이터 매핑 및 검증 규칙을 설계
2) 로지컬 매핑 - 코드 매핑 - 검증규칙 정의 - 전환 설계서 작성
3) 로지컬 매핑
- 목적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하여 필요 원천 데이터의 추출, 변환, 가공
- 적재 로직과 업무 영역별 비즈니스 흐름이 잘 반영
4) 코드 매핑
- 요건정의 단계에서 분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원천 데이터와 목적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 표준에 맞게 정의(테이블, 필드, 코드 등)
- 해당 데이터들의 매핑 관계를 기술
5) 검증 규칙 정의
- 데이터 변환에 의한 전환이 이루어진 경우 검증 규칙을 명확히 정의
6) 전환 설계서 작성
- 원천 데이터를 목적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하기 위한 매핑을 정의한 데이터 전환 설계서를 작성
4. 데이터 전환 개발 단계
1) 데이터 전환 설계 단게에서 정의된 대로 전환 프로그램을 구현
2) 전환 개발 환경 구축 - 전환 프로그램 개발 - 검증 프로그램 개발
3) 전환 개발 환경 구축
- 개발 표준과 개발바업론에 맞게 데이터 전환 개발 환경을 구축
4) 전환 프로그램 개발
- 데이터 변환 설계서에 따라 데이터 전환 프로그램을 구현
5) 검증 프로그램 개발
- 데이터 검증 설계서의 데이터 검증 논리로 실현 가능한 검증 프로그램을 구현
5. 데이터 전환 테스트 및 검증 단계
1) 데이터 전환 개발이 완료되면 전환 테스트를 진행하고 계획된 대로 전환이 되었는지를 검증
2) 전환 검증 설계 - 추출 검증 - 반환 결과 검증 - 최종 전환 설계 - 전환 인프라 구축- n차 전환 검증
3) 전환 검증 설계
- 원천 데이터의 추출 및 변환 후 목적 데이터베이스에 전환하기 위해 검증 방법과 단계를 설계
4) 추출 검증
- 원천의 데이터베이스, 파일, 문서로부터 전환하기 위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추출했는지 검증
5) 변환 결과 검증
- 추출된 원천 데이터를 목적 데이터베이스에 전환하기 위해 변환 작업에 대한 검증 수행
6) 최종 전환 설계
- 검증 과정에서 발견된 수정 사항을 반영하여 최종 전환 설계를 완성
7) 전환 인프라 구축
- 실제 데이터 전환을 위한 인프라를 구성
8) n차 전환 검증
- 반복적인 데이터 전환 테스트를 통해 데이터 정합성을 확보
6. 데이터 전환 단계
1) 데이터 전환 검증이 완료되면 실제 원천시스템의 데이터를 목적시스템에 전환
2) 최종 전환 - 안정화 지원 - 후속 단계 데이터 전환 - 전환 완료보고서 작성
3) 최종 전환
- 실제 원천 데이터를 목적 데이터베이스에 전환하도록 수행
- 검증된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해 전환을 실시하고 결과를 검증
4) 안정화 지원
- 전환된 데이터가 신규 시스템에서 문제가 없는지 확인
- 안정화 기간 동안 모니터링을 진행해 문제 발생 시 즉각적으로 원인 파악, 대응
5) 후속 단계 데이터 전환
- 안정화 지원 시 발생된 문제를 파악하여 후속 단계 데이터 전환을 진행
6) 전환 완료보고서 작성
- 의사 결정자에게 보고를 진행하고 확인
7. 데이터 전환 계획서
1) 데이터 전환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해 데이터 전환 범위, 일정, 전환 절차를 명확히 해야 함
2) 데이터 전환, 범위 선정
1] 전환 대상의 상세 내용, 데이터 형식, 대상 건수를 파악
2] 전환 제외 대상을 기록
3) 데이터 전환 일정 선정
1] 팀별 업무를 분장하여 팀별 역할과 납기를 기록
2] 전환 차수의 결정은 통합 전환 계획 및 테스트 계획에 의해 결정
전환 차수의 결정 : 반복적으로 리허설을 수행해 전환 시나리오를 검증, 보완하고 전환 시간을 단축
통합 전환 조직 : 프로젝트 수행시와는 별도로 데이터 전환 시 조직을 구성하여 운영
4) 데이터 전환 절차
1] 현행 시스템에서 목표 시스템으로 데이터 전환을 위한 단계를 구분하고 각 단계별 작업 내용과 사용 도구를 별도로 기록
2] 원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백업하여 스테이징 데이터베이스로 복구한 후 정비 및 변환 작업을 수행(원천 데이터베이스를 스테이징 데이터베이스로 백업 후 스테이징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전환)
3] 2를 통해 원천 데이터베이스의 손상, 변형을 막을 수 있음
4] 데이터 전환이 완료된 후 검증단계에서 스테이징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원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데이터 오류를 확인
스테이징 : 초대용량의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일단 자기 디스크로 전송하고 이후는 프로그램에서 직접 엑세스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8. 데이터 전환 계획서 작성
1) 데이터 전환 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사전에 예방
2) 1단계 전환 계획 : 단위 시스템별 데이터 이행 및 검증을 위해 수행
3) 2단계 전환 계획 : 전체 시스템 데이터 전환, 시나이로 초안 작성 및 검증을 위해 수행
4) 최종단계 수행 계획 : 최종 데이터 전환, 모의 계획작성 및 검증을 위해 수행
9. 데이터 전환 계획서 항목
1) 데이터 전환 개요 : 데이터 전환 목표
2) 데이터 전환 대상 및 범위 : 테이블 수, 크기
3) 데이터 전환 환경 구성 : 원천/목적 시스템 구성도, 디스크 용량 산정
4) 데이터 전환 조직 및 역할
5) 데이터 전환 일정
6) 데이터 전환 방안 : 데이터 전환 계획, 규칙, 절차, 방안
7) 데이터 정비 방안 : 데이터 정비 대상
8) 비상 계획 : 비상 시 대처 방안 수립, 의사소통 체계
9) 데이터 복구 대책
10. 체크리스트
1) 전환 프로그램의 위험 요소에 최대한 대응하기 위해 체크리스트를 작성
2) 데이터 전환 수행자가 수행할 작업의 상세 항목, 작업 내용, 예정 시작, 종료 시작, 작업 당장자를 기재
11. 데이터 검증
1) 원천 시스템의 데이터를 목적 시스템의 데이터로 전환하는 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를 확인
2) 추출 후 검증 : 현행 시스템에서 최초 원시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
1] 제공되는 원천 시스템 데이터의 정합성 확인이 목적(모순 확인)
3) 전송 검증 : 전송된 추출 파일의 코드 전환 후 검증
1]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 유실을 확인
4) 전환 검증 : 툴(ETL)을 이용해 데이터를 추출하여 staging DB를 구성한 후 검증
1] 툴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대한 데이터 유실 및 변질 여부 확인
5) 적재 검증 : 목적 테이블(To-be)에 대해 데이터를 검증
1] 데이터 전환이 완료되어도 전환 과정에서 수행한 검증 작업은 단순 매핑 결과에 대한 검증 역할 밖에 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
2] 목적 테이블에 대한 데이터를 검증하여 오류 및 데이터 누락, 손실 등을 발견
3] 데이터 전환의 정합성 검증이 목적
6) 통합 검증 : 매핑 후 검증(타겟 sam 파일 또는 타겟 테이블)을 의미
1] 오류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전 정비 또는 전환 규칙 오류를 수정 반영
2] 매핑 정의서에 정의된 내용이 전환 프로그램에 정확히 반영되었는지 확인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4과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4-21강. 데이터 전환-데이터 정제 (0) | 2020.05.09 |
---|---|
4-19강. 데이터 전환-데이터 전환 기술 (0) | 2020.05.09 |
4-18강.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물리데이터 모델 품질검토 (0) | 2020.05.09 |
4-17강.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데이터베이스 반정규화 (0) | 2020.05.09 |
4-16강.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물리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0) | 2020.05.09 |